오늘 방통작업 이란걸 했는데요.. 1톤차량에 발전기(모터??)랑 믹싱볼(섞어주는 통??)같은게 있고, 레미콘이 몰탈을 그 통에 부워주면 믹싱볼에서 호스로 연결되고, 펌프카 처럼 몰탈을 밀어내어 타설하더라고요.. 별거 없는데 첨 봐서 신기했어요. 

공부를 주5일제로 할지.. 6일이나 7일로 할지 고민되요.. 아직 2회 실기 접수기간도 아니어서.. 마음이 여유롭네요. 1회 시험때 실기 점수가 필답형 26에 작업형 27.. 총점 53점 이었어요. 필답형에서 40점정도 맞아아 부담이 없을것 같아요..

빠르게 시작해 보자규요~

1)  발파작업시 관리감독자의 업무 4가지

1. 점화신호를 하는 일
2. 점화하는 사람을 정하는 일
3. 점화순서 및 방법에 대하여 지시하는 일
4. 전모 등 보호구 착용 상황을 감시하는 일
5. 점화 전에 점화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에게 대피를 지시하는 일  

2) 히빙현상 발생원인 3가지

1.연약한 점토지반 / 2.  흙막이 벽체의 근입깊이 부족/ 3. 흙막이 내 외부 중량차 / 4. 지표 상재하중 증가

3) 하인리히의 재해예방 4원칙

1. 손실우연의 원칙
2. 원인연계의 원칙  
3. 예방가능의 원칙
4. 대책선정의 원칙

4) 계단 설치 기준 빈칸 채우기

계단 및 계단참을 설치할 경우 매 제곱미터당 (500kg)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 안전율은 4 이상
계단을 설치할 경우 폭은 (1m) 이상
높이 (3m) 초과하는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너비 1.2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
높이 (1m)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 

5) 지하 작업 중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시점 3가지

1. 매일 작업 시작 전
2. 가스 누출이 의심되는 경우 
3. 가스가 발생하거나 정체될 위험이 있는 장소
4. 작업을 장시간 하는 경우 4시간마다 가스 농도 측정

6) 안전난간 설치기준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 부터 (90cm)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난간대를 120cm 이하에 설치하는 경우 중간난간대는  상부난간대와 바닥면 등의 중간에 설치해야 하며, 120cm 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난간대를 2단 이상으로 균등하게 설치하고 난간의 상하 간격은 (60c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 부터 (10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난간대는  지름 (2.7cm)이하의 금속제 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가 있는 재료일 것
안전난간은 구조적으로 가장 취약한 지점에서 가장 취약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1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7) 지반의 동상 방지 대책

1. 단열 재료 삽입
2. 동결심도 아래에 배수층 설치
3. 배수구  등을 설치하여 지하수위 저하

8) 안전보건 개선계획 빈칸채우기

안전보건개선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사업주는 고용노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보건개선계획서를 작성하여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 하여야 한다.
안전보건개선계획서에는 시설, (안전보건 관리체제), (안전보건 교육), 산업재해 예방 및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9) 구조물 해체공사시 기계기구의 유압력에 의한 해체 공법 2가지

압쇄공법, 브레이커 공법, 잭 공법, 햄머 공법

10) 연약지반 처리공법 중 연약한 점토지반에 하중을 가하여 흙을 압밀시키고 전단강도를 증가시키는 재하공법

피리로딩(선행재하)공법

 

기출문제를 공부하다 보면 기출빈도가 높아 변형되어 나오는 문제들이 있는데, 그런 문제는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해요~

식사 맛있게 하세요~ 

+ Recent posts